전문적인 통증 관리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켜 드립니다.
어깨 통증
윤활막 염증으로 어깨 움직임이 제한되는 오십견, 어깨 뼈와 힘줄의 충돌로 염증이 생기는 어깨충돌증후군, 어깨 힘줄에 석회성 물질이 침착되어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석회성 건염, 그리고 노화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어깨 힘줄이 파열되는 회전근개파열이 있습니다.
오십견
어깨를 둘러싸고 있는 관절 안에는 관절의 마찰을 줄이고 어깨를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돕는 윤활막이 있습니다.
이러한 윤활막에 들어있는 윤활막 부위가 염증으로 인해 위축되어 통증과 함께 관절 움직임이 제한되는 질환입니다.
50대 중년에 주로 발병해 오십견으로 불리며 정확한 병명은 유착성 관절낭염 또는 동결건 입니다.
어깨충돌증후군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데 오구돌기, 극상건 등의 서로 부딪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어깨 뼈인 견봉과 회전근개 사이가 좁아져 움직일 때마다 충돌하면서 통증이 발생하며 극상건은 팔을 들어올릴 때 사용되는 힘줄로 팔을 머리 위로 올릴 때나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심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석회성 건염
어깨 힘줄에 생긴 석회성 물질이 돌처럼 굳어 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과도한 어깨 사용 및 잘못된 퇴행성 변화, 칼슘 배출 과정 등의 원인에 의해 석회가 침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밤낮 없이 아플 만큼 통증이 심해 응급실에 방문했다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전근개파열
어깨 관절을 상하좌우로 움직이며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4개의 힘줄(극상건, 극하건, 견갑하건, 소원건)을 통틀어 회전근개라고 합니다.
노화로 인해 퇴행성 변화나 외부 충격 등의 요인으로 인해 회전근개 중 일부분이 파열되거나 끊어져 통증을 유발하며 성인의 어깨에서 발생하는 통증 중 가장 흔한 질환입니다.
팔꿈치 통증
손목과 팔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힘줄에 변성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외측상과염(테니스엘보)과 팔꿈치와 아래팔 근육을 연결하는 힘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는 내측상과염(골프엘보)이 있습니다.
외측상과염(테니스엘보)
팔꿈치부터 손목까지 이어진 힘줄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조직이 변성되어 통증이 발생합니다.
주로 손목과 팔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 선수(테니스, 핸드볼, 골프 등)에게 발생했으나 최근에는 반복적인 가사노동을 하는 주부나 컴퓨터 사용이 잦은 직장인에게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팔을 사용할 때만 통증이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손의 힘이 약해지고 목, 어깨까지 통증 부위가 넓어집니다.
내측상과염(골프엘보)
팔꿈치 통증의 가장 큰 원인으로 아래팔 근육과 팔꿈치 뼈에 붙은 근육을 연결하는 힘줄에 염증이 생긴 질환입니다.
골프를 치는 사람에게 주로 발생한다고 하여 '골프엘보'라 불리지만 손과 팔을 자주 사용하는 직업이나 주부에게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보통 양쪽 팔꿈치에서 통증이 시작돼 저린 증상이 나타나고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심해져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무릎 통증
연골이 닳아 없어지거나 손상되어 통증과 부종을 일으키는 퇴행성 관절염, 무릎 안의 얇은 막인 추벽이 두꺼워져 연골에 손상을 주는 추벽 증후군, 그리고 관절 연골이 얇아져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는 슬개골연골연화증이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거나 손상되어 통증, 부종, 변형 등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노화로 인해 연골이 마모되면서 뼈와 뼈끼리 맞닿아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관절 질환 중 하나입니다.
나이와 성별, 비만, 유전적 요인 등으로 발생하는 일차성(특발성) 관절염과 무리한 운동, 갑작스러운 외상, 다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차성(속발성) 관절염으로 구분됩니다.
추벽 증후군
추벽은 무릎 안에 있는 얇은 막으로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사라지는데 간혹 성인이 되어서도 남아 있는 경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추벽이 외상이나 기타 이유로 붓고 두꺼워져 연골에 손상을 주는 질환입니다.
젊은 나이의 환자들도 많이 발생하며 무릎에서 뚝뚝 소리가 나고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별히 다치지 않아도 운동을 할 때 통증이 심해지면 관절을 심하게 써야 하고 무릎 사용이 많은 운동선수,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슬개골연골연화증
무릎 뼈에 있는 관절 연골 백색의 탄력 있는 물질로 관절의 충격을 흡수하여 뼈의 손상을 방지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나 외상으로 인해 손상의 이유로 연골이 얇아지면 통증과 염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주로 성장기 청소년과 하이힐을 자주 신는 여성의 발병률이 높습니다.
장기간 방치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조기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족부 통증
발바닥의 섬유 띠인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는 족저근막염과, 발목을 접질려 인대가 손상되거나 파열되어 발생하는 발목염좌가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과도한 스트레스나 비만 등이 원인이며, 장기적으로 방치하면 만성적인 발뒤꿈치 통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발목염좌는 급성 통증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추가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은 발바닥 전체에 퍼져 있는 두꺼운 섬유 띠로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발을 들어 올리는데 도움을 줘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족저근막이 과도한 스트레스나 비만, 외부 충격 등의 원인에 의해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장기간 방치할 경우 만성적인 발뒤꿈치 통증을 유발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발목염좌
흔히 '발목을 삐었다'고 표현하는 상태로 발목을 접질려 인대가 파열되거나 미세 손상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인대가 파열되면 제대로 걷고 뛰는 일이 어려워지고 급성기에는 체중을 딛고 서기 힘들 정도로 통증이 악화됩니다.
외상이 심한 경우 아탈구까지 유발돼 연골손상과 관절염으로 확대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